티스토리 뷰

정보공유

전기세 아끼는 방법 알아보기

소망마을 2023. 2. 21. 19:30
반응형

전기세-아끼는방법


안녕하세요/ 소망 입니다. 요즘 월급은 안 오르는데 금리와 물가는 크게 오르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낸 분들이 많습니다. 하지만 안타깝게도 새해 벽두부터 불편한 소식이 있는데요... 바로 새해 첫날인 1월 1일부터 전기요금이 9.5%나 올랐다는 것입니다. 이는 지난 1981년 오일쇼크 당시 10% 인상 이후 가장 많이 인상한 수치인데, 문제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2분기 이후에도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추가 인상이 예고되어 있다고 합니다. 그렇다면 작년에 이어 대체 왜 이렇게 전기세가 오르는 것일까요? 오늘은 그 원인과 전기세를 아끼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럼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.

 

* ​2023년 전기세 얼마나 오르나?

2023년 1분기(1~3월) 전기요금 인상 폭은 전력량요금과 기후환경요금을 합쳐 ㎾h당 13.1원입니다. 올해 4분기 대비 인상률은 9.5%에 달하는데요. 이미 2022년 한전은 이 ㎾h당 전기요금을 4월 6.9원, 7월 5원, 10월 7.4원 세 차례에 걸쳐 올렸지만, 2023년 1월부터 이에 버금가는 13.1원을 한꺼번에 올리기로 한 것입니다. 이로 인해 한 달 평균 307㎾h(2020년 에너지총조사 기준)를 쓰는 4인 가구가 납부해야 할 주택용 전기요금은 월 4만6382원에서 5만404원으로 약 4022원 오릅니다. 전력기반기금 3.7%와 부가가치세 10%는 뺀 금액입니다. 단,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 취약계층은 2023년 전기요금을 총 1185억원 할인해주기로 했습니다. 2022년 평균 사용량(복지할인가구 월평균 313㎾h)까진 요금을 동결하고, 추가 사용분에 한해서만 오른 요금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.


* 전기세 최대 인상 원인 알아보기

전기요금 인상의 주요 원인은 한국전력공사의 대규모 적자입니다. 지금까지 정부는 국민적 반발을 우려하여 전기세 인상을 자제해왔으나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전세계적인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면서 한전의 재정 상황이 급격하게 나빠진 것이 변수로 작용했습니다. 그래서 2022년 4월, 7월, 10월 3번에 걸쳐 전기요금을 ㎾h당 19.3원 인상한 것이죠. 하지만 그럼에도 액화천연가스(LNG)와 석탄 등 전력 생산에 사용되는 연료 가격이 치솟아 한전의 적자는 줄어들지 않았고, 한전에서 올 1분기 13.1원을 올리더라도 Wh당 평균 21원 안팎의 적자가 쌓인다고 하는데요. 이로 인해 한전은 올해에도 회사채를 통해 운영자금 확보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.

 

* 전기요금 아끼는 방법 알아보기

이처럼 계속되는 한전의 적자로 올해 전기세가 크게 인상될 예정이기 때문에 가정에서 할 수 있는 것은 전기세를 아끼는 방법밖에 없는데요! 그래서 오늘 전기세를 조금이라도 줄일 수 있는 방법을 소개해드리고자 합니다.

​1.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높은 가전제품 사용

우리나라는 1992년부터 에너지소비효율등급 표시제도를 시작하여 주기적으로 기준을 강화하고 있는데요. 이 제도는 에너지소비효율 또는 에너지사용량에 따라 효율 등급을 1~5등급으로 나눠서 라벨에 표시하도록 하여 소비자들이 효율을 높은 에너지 절약형 제품을 쉽게 선별하고 구입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에너지소비효율 등급라벨은 1~5등급으로 나눠져 있으며 1등급 제품은 5등급 제품보다 약 30~40%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데요! 보통 라벨에는 등급이 숫자로 표기되고 월간소비전력량, 시간당 CO2 배출량, 제품용량, 연간 예상 전기요금 등이 표기되어 있습니다. 따라서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높은 가전제품들로만 사용한다면 전기세를 아낄 수 있습니다.

​2. 멀티콘센트 사용 및 쓰지 않는 전기 플로그 뽑기

이미 많은 분들이 쓰고 계실 방법이지만 가장 쉽지만 지키기 어려운 방법인데요. 쓰지 않는 전기제품이라도 플로그를 계속 꽂아두면 전기가 소모되는데 이를 대기전력이라고 합니다. 이 대기전력은 전기세를 높이는 요인 중 하나이므로, 사용하지 않는 제품의 전기 플로그를 뽑거나 전원을 차단한다면 전기세를 효과적으로 줄일 수 있습니다.

​3. 셋톱박스 전원 관리

열을 많이 발생시키는 셋톱박스는 의외로 대기전력이 매우 높아 셋톱박스 전원을 관리할 경우 전기요금을 줄일 수 있는데요. 따라서 셋톱박스를 쓰지 않을 때는 전원 플로그를 뽑아두는 것이 좋습니다. 셋톱박스 전원을 차단하는 것만으로도 한 달에 약 1천원은 아낄 수 있다고 합니다.

4. ​냉장고 냉장칸은 60~70%만 채우기

냉장고나 냉동고에 음식을 꽉 채우시는 분들 많으실 텐데요! 그러나 가득 채워도 60~70%까지만 채우는 것이 좋습니다. 냉장고에 여유공간이 있어야 냉기의 순환이 원활해져 음식의 신선도를 최성으로 보관할 수 있기 때문입니다. 또한 뜨거운 음식은 식혀서, 식재료는 잘게 썰어 보관하는 것이 냉장의 효율을 높이며, 냉장고 문을 하루에 4번 덜 열면 전력의 15%나 절약할 수 있다고 하니 냉장고 문을 최대한 열었다 닫았다 하지 않는 것이 좋습니다.

 

 

* 마무리


오늘은 전기세 인상 요인과 전기세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. 정보를 찾으시던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봅니다.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. 오늘도 즐겁고 평온한 하루가 되시길 기원합니다.

반응형
댓글